131주년 동학농민혁명의 기념식이 5월 11일 정읍과 공주에서 거행됐다. 정읍에서는 국가 기념일로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에서 열렸고, 공주에서는 우금티(치) 마루 동학농민기념탑에서 실시했다.
우리가 찾고자하는 것은 1894년 동학농민들의 참된 목소리다. 그 목소리는 오늘도 살아 숨쉬면서 우리에게 경종을 울린다. 한마디로 그 목소리는 보국안민(輔國安民)이다. 보국안민의 정신은 충신을 다하여 나라를 돕고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동학농민의 뜻이다. 그러한 충절의 마음이 해를 거듭할수록 새롭게 강화되는 이유는 2024년 12월 3일 불법계엄의 시기, 2025년 4월 4일 대통령 파면 이후의 첫 기념일이기 때문일 것이다.
안보적 차원에서 1890년대를 돌아보자. 1890년대 들어서도 탐관오리들이 백성을 탄압하여 동학농민혁명의 기운을 전국으로 퍼져 있었다. 그러한 상황에서 1894년 동학농민혁명군의 기세가 거세져 지방 감영군은 물론 중앙에서 파견한 경군마저 격파하였다.
조선 정부는 청나라에게 지원을 요청, 청나라는 아산만을 통해 2,800명의 병력을 파병하였다. 또한 청은 톈진 조약에 따라 일본에게 파병 사실을 알렸다. 그 당시 조선 진출에 혈안 된 일본은 일본 거류민과 공사관을 보호한다는 미명 아래 8,000명의 병력을 인천으로 파병했다.
이러한 엄중한 상황 속에서 청과 일본군이 진주하자 동학농민혁명군과 조정은 전주 화약을 맺어 평화롭게 사태를 매듭지었다. 동학농민군이 해산했으니 원칙대로면 청나라와 일본 양측 군대 모두 그대로 철군해야 했다.
그러나 조선 정부의 뜻과 다르게 청과 일본군은 철군하지 않았다. 특히 인천에 상륙한 일본군은 인천 제물포에 상륙하고 6월 23일 한양으로 진격해 일부는 용산에 주둔하고 일부는 한양 시내를 행군하였다.
당시 조선군 경군(京軍) 중 상당수가 동학농민전쟁 진압을 위해 한양을 비웠다. 경복궁을 경비하던 병력은 매우 부실하였다. 이 틈을 이용하여 일본군이 고종을 사로잡을 의향으로 경복궁을 포위하였다고, 경복궁 습격에 이르렀다. 새벽 조선 군사를 제압하고 일본군이 경복군 궐내로 진입하여, 칼을 빼들고 고종을 위협하였다.
결국 고종이 붙잡히고 다시 대원군의 귀환이 이루어졌다. 대원군은 일본군에게 조선 영토를 요구하지 않겠다는 서약서를 받아낸 후, 재집권에 동의하였다. 그러나 대원군은 청군과 동학농민군에 밀서를 보내어 항일 연대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결국 다시 실각하였다.
나라의 힘이 모자라면 졸지에 외적에게 유린당한다. 일본군이 경복궁을 침입한 것은 우리 조선의 안보역량이 부실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일본의 경복궁 점령은 다시 동학농민혁명군의 봉기를 일으켰다. 대궐과 한양이 아수라장이 되었는데 수습하려는 이들은 민초, 동학농민혁명군과 함께 나서는 백성들이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일본은 동학농민혁명군을 사정없이 탄압하고 이에 반발한 동학농민혁명군은 공주 우금티에서 일전을 벌인 것이다. 그러나 중과부적으로 일본군의 신식무기에 패배하고 만다. 그 전투 과정에서 동학농민혁명군은 계속적인 일본군과 관군의 몰아침에도 굴하지 않고 보국안민의 정신을 이어가서 항일의병활동으로 지속하였다.
당시 동학농민군과 백성의 마음은 오늘날 불법 계엄으로 나라가 갈라지는 순간에 뜻을 하나로 모으는 열정으로 다시 대한국민의 정신과 다를 바 없다.
그러한 노력이 항일투쟁으로 전개되었고 3.1 운동의 정신과 일맥상통하는 우리 대한국민의 위상을 드높이고 있다. 이러한 심정적인 정서와 실질적인 이성을 통합하려던 선인들의 노력을 받들어 우리는 다시 민주주의 전개를 진척해야 한다. 그래야만 보국안민의 구현인 통일 문제나 이념 문제에서 의식의 진화와 통합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서로의 삶의 평온을 통해 홍익인간의 사해동포주의로 승화할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한다. 우리 사회의 통합문제 해결력은 우리 내부에서의 요구와 불만을 민주적으로 해소하려는 인내력과 의지를 갖춰야 한다.
오늘을 사는 우리는 1894년 동학농민혁명의 정신을 1919년 3.1운동, 1960년 4.19혁명, 1980년 5.18 염원으로 강화하여 2025년 또다시 희망의 대통령 선거 그 이후 국민의 힘으로 안보, 평화와 통일의 길을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통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