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송금 탈북민 20.9%…작년 대비 5.7%p감소NKDB·NKSR, ‘2021 탈북민 경제사회통합 실태조사’ 세미나(사)북한인권정보센터와 (주)엔케이소셜리서치가 28일 ‘2021 북한이탈주민 경제사회통합 실태조사’ 결과 보고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조사는 탈북민의 대북송금 및 재북 가족과의 연락, 교육, 소속감, 재이주에 대한 인식 등 사회통합 실태와 취업과 실업, 소득, 저축 등 고용동향 및 경제활동 전반에 대한 경제통합 실태를 포함하고 있다.
탈북민 경제사회통합 실태조사는 국내 최초로 탈북민의 경제활동 동향을 정기적으로 조사·분석해 온 기초 조사 결과물이다. 2021년 11월 22일부터 12월 3일 사이 ‘탈북민 정착실태 조사 패널단’ 290명(71.3%)과 신규 유입 탈북민 117명(28.7%) 총 407명 대상 전화설문과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실시됐다(신뢰도 95%, 오차율 ±5%).
조사 결과, 탈북민 조사 대상자 407명 중 85명(20.9%)만이 ‘2021년 대북송금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올해 평균 1.51회 송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올해 대북송금 경험자들의 1회 평균 송금액은 209만원, 연간 총 송금액은 24,520만원으로 이는 지난해 추정 총 송금액 29,978만원보다 5,458만 원가량 감소한 값이다.
대북송금 미경험자 322명(79.1%)에게 미송금 이유를 물었다. ‘송금할 만한 돈이 없어서(28%)’, ‘송금해 줄 가족이 없어서(18.9%)’라는 응답과 함께 ‘코로나19에 따른 국경봉쇄 및 통제 강화로 재북 가족 및 지인과의 연락이 끊겼기 때문’이란 응답이 기타(32.6%) 항목의 대다수를 차지했다.
이와 함께 조사 대상자 407명 중 116명(28.5%)은 대북송금 과정에서의 연락을 포함해 ‘2021년 재북 가족 혹은 친척, 친구 등과 연락을 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주로 안부 묻기(48.7%), 대북송금 요구 및 전달 여부 확인(35.9%), 북한 내부 상황 파악(7.7%) 등이 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 대상자 407명 중 경제활동인구는 272명(66.8%)이었으며, 이들 중 실업자는 8명으로 올해 탈북민 실업률은 2.9%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탈북민 실업률 7.7% 대비 4.8%p 감소한 값으로, 올해 일반 국민 실업률 2.8%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탈북민 취업자 264명(97.0%) 중 임금근로자(상용+임시+일용) 224명의 평균 임금은 1,924,500원으로 이는 일반 국민 임금근로자 평균임금 2,734,000원(통계청 2021년 8월 발표 기준)의 70.4% 수준에 해당된다.
탈북민 경제사회통합 실태 조사는 2005년부터 매년 조사를 실시해 탈북민의 고용동향과 경제활동 실태 및 변화 추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강유미 기자
<저작권자 ⓒ 통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