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의 건축공학·천문지식 수준 알수 있어…
국보유적 제84호로 등록된 관산리 고인돌은 황해남도 은률군 관산리에 있다. 은률군 관산리라고 하면 우리나라에서 대형고인돌이 많은 지역의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 가운데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국보유적 제84호로 등록된 관산리1호 고인돌이다. 관산리 고인돌은 이 소재지에서 동남쪽으로 약1.3㎞떨어진 묘골언덕 위에 있다. 관산리 고인돌은 우리나라에서 첫 고대국가인 고조선의 가장 상징적인 유적의 하나이다. 고인돌은 고조선국가 성립이전부터 고조선 후기인 B.C. 2천년기 말엽까지 만들어졌다. 그것들은 고조선의 수도였던 평양일대를 중심으로 조선반도전부의 넓은 지역에 분포되여 있다. 고인돌은 고임돌과 막음돌, 뚜껑돌로 되여 있다. 3면을 막은 고임돌은 무덤칸의 벽체를 의미하고 막음돌은 입구를 의미하며 뚜껑돌은 천청을 덮어 무덤칸을 완성시키면서 무덤표 식물의 역할도 한다. 고인돌은 구조형식에 따라 크게 침촌형 고인돌, 오덕형 고인돌, 묵방형 고인돌로 나눈다. 이 명칭은 지명에 따라 붙여졌는데 침촌형 고인돌은 황해북도 황주군 침촌리에서 유래되였고 오덕형 고인돌은 황해북도 연탄군 오덕리에서 유래 되였으며 묵방형 고인돌은 평안남도 개천시 묵방노동자구에서 유래되였다. 침촌형 고인돌은 얇은 고임돌 위에 큰 뚜껑들을 놓고 고인돌 주변에 잔돌들로 보강한 고인돌인데 대체로 몇기씩 떼를 이루고 있다. 그대신 오덕형 고인돌은 두텁고 큰 고임돌을 지상에 세우고 그 위에 큰 뚜껑들을 올려놓은 고인돌이며 묵방형 고인돌은 지하에 쪼각돌들로 무덤칸을 만들고 그 위에 뚜껑돌을 덮은 것이다. 이 유형들은 발생에서 서로 시기적인 순차성을 가지나 그 가운데서 가장 큰 고인돌들은 다 오덕형에 속한다. 관산리 고인돌은 오덕형 고인돌 가운데서 가장 큰 고인돌의 하나이다. 흔히 다른 고인돌들은 뒤쪽 고임돌을 양옆고임돌의 안쪽에 들여세워 (H)형으로 막았는데 관산리 고인돌은 뒤쪽 고임돌을 양옆고임돌의 바깥쪽에 세워(ㅠ)자형으로 막은것이 특이하다. 고임돌들은 6~7。정도의 안기울임을 줌으로써 건축역학적으로나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있다. 이것은 당시의 발전된 건축공학적수준을 말해준다. 관산리 고인돌에서 특징적인 것은 또한 매부재들의 가공에서 대패로 민것처럼 정밀하게 가공한 것이다. 뚜껑돌만 하여도 두께 0.35m정도로 일매지게 가공하였기 때문에 무게는 40t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다른 고인돌들의 경우를 보면 뚜껑돌이 관산리 고인돌보다 작지만 무게는 70t되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두텁고 거칠게 가공한 결과이다. 관산리 고인돌에서 특징적인 것은 또한 별자리조각이다. 이 고인돌의 뚜껑돌 윗면에는 크기가 차이나는 14개의 홈구멍이, 동쪽 고임돌의 안쪽면 앞부분에는 7개의 홈구멍이 있다. 이것들은 고인돌을 만들 당시의 밤하늘에 나타나던 대표적인 별자리들을 새겨넣은 것으로 고증되였다. 그 가운데서 동쪽 고인돌 안쪽의 홈구멍7개는 북두칠성으로 추정된다. 현재 공화국 북반부의 고인돌들 가운데서 이런 별자리를 새긴 고인돌의 수는 200여개를 훨씬 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가운데는 한 고인돌에 100개 이상의 별들을 새긴것들도 있다. 이것을 통하여 당시 고조선에서 천문지식 수준이 얼마나 높았는가를 잘 알수 있다. 관산리 고인돌의 별자리 상태를 측정한데 의하면 지금으로부터 약 3,400년 전의 별자리 상태로 판정되였다. 이것은 고고학적 연구결과와도 일치하다. 이 고인돌은 고조선 시기 사람들이 무덤으로 이용한것인데 후세 사람들은 고인돌에 새겨져 있는 별자리들을 보고 천문관측을 위한 구조물로 생각하고 고인돌의 뒤쪽 고임돌 바깥면에 ‘천문대’라는 글을 새겼다. 이처럼 큰 구조물을 만들려면 많은 노력을 동원했을 것이다. 관리산 일대에는 고인돌 밖에도 옛 토성과 그것을 둘러싼 나무곽무덤, 벽돌무덤, 옛 우물 등의 유적들도 있다. 이러한 유적들을 통하여 이 일대가 고조선 시기에 중요하나 정치적 거점의 하나였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저작권자 ⓒ 통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
많이 본 기사
|